ADsP(3)
-
. 2023.11.10
-
.
정형 데이터 - KDD - CRISP-DM 비정형 데이터 -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 [1]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해당 변수의 분포 등을 시각화하여 분석하는 분석 방식은 무엇인가? 1. 전처리 분석 2. 탐색적 자료 분석 (EDA) 3. 공간 분석 4. 다변량 분석 탐색적 자료 분석(EDA) - 다양한 차원과 값을 조합해가며 특이한 점이나 의미 있느 사실을 도출하고 분석의 최종 목적을 달성해가는 과정으로 데이터의 특징과 내재하는 구조적 관계를 알아내기 위한 기법들의 통칭이다. - 데이터 이해 단계, 변수생성 단계, 변수선택 단계에서 활용됨 EDA의 4가지 주제 - 저항성의 강조, 잔차 계산, 자료변수의 재표현, 그래프를 통한 현시성 전처리 분석: 데이터 전처리는 데이터를 정제하고 준비하..
2023.10.04 -
.
[1] 데이터는 형태에 따라 정성 데이터 / 정량 데이터로 구별된다. 정량 데이터 : 수치, 도형 ,기호 / 정성 데이터: 언어, 문자 정성적 데이터 정량적 데이터 비정형 데이터 정형 데이터 주관적인 내용 객관적 내용 통계분석이 어려움 통계분석이 용이함 풍향 - 정량 데이터 습도 - 정량 데이터 기상특보 - 정성 데이터 1시간 강수량 - 정량 데이터 => 기상 특보는 비정형 데이터, 주관적 내용, 통계분석이 어려움 [2] 암묵지와 형식지의 상호 작용 관계 공통화 - 표출화 - 연결화 - 내면화 (공표연내) 공통화 : 암묵지를 타인에게 알려줌 표출화 : 암묵지를 책,문자 등으로 형식지로 만듦 연결화 : 책 등에 자신이 아는 새로운 지식 추가 내면화 : 책을 통해 자신의 지식으로 습득 암묵지 형식지 개인적인..
2023.09.30